기픈옹달

三國史記 : 龜兎說話

한국사데이터 베이스 원문 및 번역
春秋訓信沙干, 聘髙句麗, (춘추여훈신사간 빙고구려)
行至代買縣, 縣人豆斯支沙干, 贈青布三百歩. (행지대매현 현인두사지사간 증청포삼백보)
旣入彼境, 麗王太大對盧盖金舘之, 燕饗有加.
或告麗王曰 : “新羅使者, 非庸人也. (혹고려왕왈 신라사자 비용인야)
今來殆欲觀我形勢也. (금래태욕관아형세야)
王其圖之, 俾無後患.” (왕기도지 비무후환)
王欲横問, 因其難對而辱之, 謂曰 : (왕욕횡문 인기난대이욕지 위왈)
麻木峴竹嶺, 本我國地. (마목현여죽령 본아국지)
若不我還, 則不得歸.” (약불아환 즉부득귀)
春秋答曰 : (춘추답왈)
“國家土地, 非臣子所專, 臣不敢聞命.” (국가토지 비신자소전 신불감문명)
王怒囚之, 欲戮未果. (왕노수지 욕륙미과)
春秋以青布三百歩, 密贈王之寵臣先道解. (춘추이청포삼백보 밀증왕지총신선도해)
道解以饌具來, 相飮酒酣, 戱語曰 : (도해이찬구래 상음주감 희어왈)
“子亦甞聞龜兔之說乎? (자역상문구토지설호)
昔東海龍女病心, 醫言 : (석동해용녀병심 의언)
‘得兔肝, 合藥則可療也.’ (득토간 합약즉가료야)
然海中無兔, 不奈之何. (연해중무토 불내지하)
有一龜白龍王言 : (유일구백용왕언)
‘吾能得之.’ (오능득지)
遂登陸見免言 : (수등륙견토언)
‘海中有一島, 清泉白石, 茂林佳菓, (해중유일도 청천백석 무림가과)
寒暑不能到, 鷹隼不能侵. (한서불능도 응준불능침)
爾若得至, 可以安居無患.’ (이약득지 가이안거무환)
因負兔背上, 游行二三里許, (인부토배상 유행이삼리허)
龜顧謂兔曰 : (구고위토왈)
‘今龍女被病, 須兔肝爲藥, (금용녀피병 수토간위약)
故不憚勞, 負爾來耳.’ (고불탄노 부이래이)
兔曰 : ‘噫. (토왈 희)
吾神明之後, 能出五蔵, 洗而納之. (오신명지후 능출오장 세이납지)
日者, 小覺心煩, (일자 소각심번)
遂出肝心洗之, 暫置巖石之底, (수출간심세지 잠치암석지저)
聞爾甘言徑來, 肝尚在彼, (문이감언경래 간상재피)
何不迴歸取肝? (하불회귀취간)
則汝得所求, 吾雖無肝尚活, (즉여득소구 오수무간상활)
豈不兩相冝哉.’ (기불량상의재)
龜信之而還, 纔上岸, 兔脫入草中, (구신지이환 재상안 토탈입초중)
請龜曰 : ‘愚哉! 汝也. (청구왈 우재 여야)
豈有無肝而生者乎?’ (기유무간이생자호)
龜㦖黙而退.” (구문묵이퇴)
春秋聞其言, 喩其意, (춘추문기언 유기의)
移書於王曰 : (이서어왕왈)
二嶺本大國地分, 臣歸國, 請吾王還之. (이령본대국지분 신귀국 청오왕환지)
謂予不信, 有如皦日. (위여불신 유여교일)
王迺悅焉. (왕내열언)